성심산학협력단

 

연구정보

연구자현황

이지은(Lee ji-eun) 프로필 이미지

이지은 조교수

Lee ji-eun

연구분야

사회복지학

연구키워드

복지국가 생태-사회복지 사회정책 기본소득

교수소개


						
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국문학을 전공하여 문학사를 취득한 후, 중앙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가톨릭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강사로 근무했으며, 현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성장·분배·생태를 중심으로 복지국가 성과의 유형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최근에는 포스트성장 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한 복지, 생태-사회정책에 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여성주의와 생태주의 관점을 융합한 사회복지 연구로의 확장을 모색하는 탐색적 연구도 함께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복지국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사회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학문적·실천적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Ji-eun Lee holds a B.A. in Social Welfare and Korean Literature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earned both her M.A. and Ph.D. in Social Welfare from Chung-Ang University. She has taught at the graduate schools of social welfare at the Catholic University and Chung-Ang University, and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r doctoral dissertation examined the typologies and transformations of welfare state outcomes, focusing on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economic growth, redistribution,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Her current research addresses theoretical and empirical questions surrounding sustainable welfare in post-growth societies, and the development of eco-social policy frameworks. She is also conducting exploratory research that integrates feminist and ecological perspectives with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development of post-growth and degrowth-oriented social policy, along with feminist perspectives on care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Through her work, she aims to contribute to reimagining the future of welfare states and to advancing scholarly and practical debates on paradigm shifts in social policy.

최종학력

2024.08.23 | 중앙대학교 | 사회복지학과 | 사회복지학

연구실적

• 2023.03 | 교신 | 한국사회정책 30(1), 67–109
생태적 노동의 의미와 불안정성에 대한 탐색: 청년 생태활동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2023.02 | 제1저자 | 비판사회정책 78, 57–96
생태적 전환과 기본소득에 대한 고찰: 청년 생태활동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 2022.08 | 제1저자 | 비판사회정책 76, 114–152
페미니스트 활동가의 기본소득 인식에 대한 탐색: 기본소득과 페미니즘을 함께 말하는 것의 의미
• 2021.11 | 교신 | 사회보장연구 37(4), 5–40
낮은 수준의 범주형 기본소득의 의미: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수급 청년의 경험
• 2021.08 | 교신 | 사회보장연구 37(3), 41–70
기본소득의 심리적 실현가능성에 대한 고찰: 복지태도와 노동윤리를 중심으로
• 2021.02 | 제1저자 | 사회보장연구 37(1), 119–150
기본소득과 재량시간: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 2020.10 | 공동 | Sustainability 12(20)
Evaluating Basic Income, Basic Service, and Basic Voucher for Social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 2020.09 | 교신 | 사회복지정책 47(3), 63–95
근로장려금 수급이 여성의 노동공급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가구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