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주 교수
Nam Joo Kang
-
소속학과
생명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4
-
연구분야
생명공학
-
연구키워드
바이오식의약소재(암/염증예방) 마이크로바이옴 장모사공배양 기능유전체
강남주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식품생명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앞서 경북대학교 생명식품공학전공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천연물 소재, 생명과학, 응용미생물 분야의 융합 연구 및 교육을 다년간 수행하였다. BK21 창의인재양성사업, 글로컬 인재양성사업단 등 주요 국책사업에 참여하며 교육, 연구 양면에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능유전체 기반의 바이오헬스케어"이며, 그 세부 내용으로는 ▲장내 미생물-숙주세포 상호작용 모델(HoxBan)을 활용한 염증성 장질환 및 대장암 완화 연구, ▲장염 완화, 대장암 억제, 피부노화 개선 등을 목표로 하는 식이성 천연물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피부 건강 개선을 위한 고부가가치 바이오소재 발굴 등이 있다. 특히, 인간 대장의 생리적 환경을 모사한 HoxBan 공배양 시스템을 통해 질환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기능성 식의약 소재의 효과를 정량적·분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용적 연구 플랫폼을 구축하여 다양한 질환 모델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대장암에서 장내 미각 수용체(TAS2R5)의 역할 규명”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장내 감각수용체 기반 기능성 소재의 작용기전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아모레퍼시픽, CJ제일제당 등과의 협업을 통해 산업적 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Professor Nam Joo Kang received her Ph.D. in Food Biotechnology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ompleted postdoctoral training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reviously, she served as a faculty membe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here she conduct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natural product 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applied microbiology. Through involvement in programs such as BK21 and the Glocal Talent Training Project, she gained extensive experience in biotechnology education and research leadership. Her work focuses on functional genomics-based bio-healthcare, particularly on host–microbiota intera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dietary natural product-derived functional ingredients. A core achievemen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HoxBan co-culture system, an in vitro model simulating the human colon’s aerobic–anaerobic interface. This platform enables the investigation of disease mechanism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colorectal cancer,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s of bioactive compounds. Currently leading a national project on TAS2R5 in colorectal cancer, she explores gut chemosensory signaling and its role in tumor progression. She collaborates with industry to translate research into functional health materials.
-
소속학과
-
강내원 조교수
Nae-Won Kang
-
소속학과
약학과
-
연구실
정진석추기경약학관 NP312
-
연구분야
약제학
-
연구키워드
약물전달체 생체재료 나노입자 하이드로겔 조직공학
2016년 고려대학교 약학사(Pharm.D.) 및 2022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약제학 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으며, 2023년부터 Stanford University 의과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원 (Postdoctoral Scholar)으로 각막 질환 치료를 위한 재생성 약물전달체 (Regenerative DDS)를 연구하였습니다. 2025년 9월부터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에 약제학전공 조교수로 부임하여 약물전달체 및 생체소재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의 연구는 새로운 약물전달시스템 및 기능성 생체 소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주요 관심 분야는 종양 표적성 나노입자 연구, 각막 재생성 하이드로겔 연구, 만성 염증성 질환 치료 연구 등이 있습니다. 핵심 연구 방향으로는 종양 미세환경을 개선/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나노입자 개발, 약물전달체가 재생 소재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유동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재생성 약물전달체 연구, 조직 재생 과정에서 새로운 특성을 부여하는 소재 개발 등이 있습니다.
-
소속학과
-
강민호 조교수
Kang Min-Ho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5
-
연구분야
바이오의료 및 에너지 소재
-
연구키워드
바이오 소재 및 센서 이차전지 소재
나노입자 합성과 반도체 공정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용 임플란트 및 생체모사체 제조 플랫폼 개발과 이차전지 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하는 마이크로/나노 시스템 연구실(MiNs Lab)을 운영하고 있음.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들과 활발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40여편의 논문을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함. 현재 한국 생체재료학회 신진연구자위원회 활동 중임. Homepage: https://www.mins-labs.com/ E-mail: mhkang@catholic.ac.kr
We are operating a micro/nano system laboratory (MiNs Lab) that develops biomedical implant and spheroid fabrication platforms and secondary battery material using nanoparticle synthesis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ology. We are actively conducting joint research with various research institutes and companies. 40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in SCI-level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s. Currently serving on the New Researcher Committee of the Korean Society of Biomaterials. Homepage: https://www.mins-labs.com/ E-mail: mhkang@catholic.ac.kr
-
소속학과
-
강석우 교수
Kang, Suk-woo
-
소속학과
일어일본문화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211
-
연구분야
일본어학
-
연구키워드
사회언어학
-
소속학과
-
강수정 조교수
SoojungKang
-
소속학과
상담교육전공
-
연구실
김수환관 K315
-
연구분야
상담, 상담교육, 상담심리
-
연구키워드
상담자교육 상담자윤리 다문화사회정의상담
강수정 교수는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전공 조교수로,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과학자-실무자-옹호자 모형(Mallinckrodt et al., 2014)을 기반으로 상담, 연구, 교육 활동을 다방면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현재 (사)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보유한 상담심리전문가이자 주수련감독자로 활동 중이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비롯한 공공기관, 성인 대상 공공기관 및 사설상담센터에서 상담자로 일하였고,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을 표방하는 상담 기관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전문가 윤리와 정체성,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다문화 지향으로, 현대 사회를 민감하게 성찰하고 유연하게 적응하는 상담자 교육에 관심이 있다. 상담자의 디지털 윤리, 다문화 지향 기반 상담 및 수련 등을 연구했으며, 해당 연구들은 KCI 및 SSCI 등재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
소속학과
-
강인남 교수
Kang In-Nam
-
소속학과
화학과
-
연구실
다솔관 D611
-
연구분야
유기화학
-
연구키워드
기능성고분자 유기반도체소재 유기태양전지소재
강인남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1997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졸업후 태광산업중앙연구소에 합류하여 섬유용 고분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1997-1999), 삼성종합기술원으로 옮겨서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와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OFETs)에 적용 가능한 유기반도체소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2005년에 가톨릭대학교로 이직하여 현재 화학과 정교수로 있다. 그의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유기광전자소자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유기반도체 소재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것으로, 현재 유기태양전지용 유기반도체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Professor Kang In-Nam majored in chemistry at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earning a doctorate degree in 1997. Afterwards, he joined the Taekwang Industrial Central Research Institute and conducted research on polymer fibers (1997-1999) before moving to Samsung. Subsequently, at the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SAIT), he studied the synthesis of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and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OFETs). He then moved to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5, where he is currently a full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emistry. His main research interest is the design and synthesis of new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for various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s. At present, 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for organic solar cells.
-
소속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