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산학협력단

 

연구정보

연구자현황

게시글 검색
전체
  • 이수림 부교수

    Lee Su Lim

    • 소속학과

      상담심리대학원

    • 연구실

      성의회관 (서울성모병원내) SE717

    • 연구분야

      상담심리, 심리치료, 집단상담, 상담자 교육, 정신역동치료, 외상

    • 연구키워드

      상담심리 심리치료 집단상담 상담자 교육 정신역동치료 외상

    이수림(Lee Su Lim) 프로필 이미지
    이수림 교수는 상담심리 및 심리치료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2008년 가톨릭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2009년-2011년 미국 오레건주립대학의 연구원으로 지혜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1년-2017년까지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직을 수행하였다. 2017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및 심리학전공 교수로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 집단상담, 상담사례지도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1급 자격, 청소년상담사 1급 자격을 갖추고 있어 상담 실제에 적용가능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2011년 부터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강사로 부모상담을  강의하고 있으며, 교재 집필을 하였다. 
    Professor Sulim Lee mainly conducts resear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After receiving his doctorate from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8, she conducted wisdom research as a researcher at Oregon Stat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from 2009 to 2011, and served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t Korea Open Cyber University from 2011 to 2017. Since 2017, she has been a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Department of Psychology at Catholic University, where she teaches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ory, group counseling, and counseling case guidance. She holds a level 1 qualification as a counseling psychologist from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ion and  a level 1 Youth counselor , and is conducting research applicable to counseling practice. Since 2011, she has been lecturing on parent counseling as a youth counselor qualification training instructor and has written teaching materials.
  • 이영희 교수

    Lee, Young Hee

    • 소속학과

      사회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10

    • 연구분야

      사회학

    • 연구키워드

      과학기술 및 정보사회학 환경사회학 정치사회학

    이영희(Lee, Young Hee) 프로필 이미지
    이영희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의 방문연구원과 한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선임연구원을 거쳐, 1998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환경사회학, 정보사회학, 과학기술사회학, 지식/전문성의 정치와 민주주의, 시민참여와 공론화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한국비판사회학회 회장, 한국과학기술학회 회장, 시민과학센터 소장, 시민환경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대표 저서로는 <포드주의와 포스트 포드주의>, <과학기술의 사회학: 과학기술과 현대사회에 대한 성찰>,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과학기술>, <전문가주의를 넘어: 과학기술, 환경, 민주주의> 등이 있다.
    Professor Young Hee Lee is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Sociolog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 received bachelor'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at Yonsei University. He conducts research and lectures on topics such as sociology of environment, sociology of information,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tics of knowledge and expertise and democracy, citizens participation and public deliberation. His books include <Fordism and Post-Fordism>,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Technology and Democracy>, <Beyond Expert-centrism: Technoscience, Environment, and Democracy>.
  • 이오준 조교수

    O-Joun Lee

    • 소속학과

      인공지능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4

    • 연구분야

      인공지능

    • 연구키워드

      그래프학습

    이오준 교수는 2021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데이터사이언스학과에서 JA교수직도 함께 맡고 있습니다. 2019년 중앙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학위를, 2015년 단국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학 학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가톨릭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포항공과대학교 미래IT융합연구원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습니다.
    
    이오준 교수의 주된 연구 분야는 그래프 마이닝 및 그래프 학습으로, 최근에는 그래프 신경망 모델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모델들을 분자 구조 분석, 소셜 미디어 분석, 기상 데이터 분석, 교통 흐름 분석 등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오준 교수는 2024년 8월 기준으로 SCI(E)급 국제 학술지에 32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국제 학술대회에서 37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AAAI, IJCAI와 같은 저명한 국제 학술대회 및 AIJ, IEEE IoT-J, IPM, JOI, FGCS 등 최상위 국제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O-Joun Le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Rep. of Korea since September 2021. He received Ph.D. degree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from Chung-Ang University in 2019. He also received B.Eng. degree in Software Science from Dankook University in 2015. He was a full-time researcher at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 of Korea from September 2019 to August 2021.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graph mining, graph representation learning, and graph neural networks. He has applied graph mining models and methods to various unstructured data, such as social media, bibliographic data, medical knowledge bases, traffic flow data, molecular structures, etc.
  • 이용표 교수

    Lee Yong Pyo

    • 소속학과

      사회복지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308

    • 연구분야

      사회복지학

    • 연구키워드

      정신건강사회복지

    이용표(Lee Yong Pyo) 프로필 이미지
  • 이원봉 부교수

    Lee Wonbong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니콜스관 N222

    이원봉(Lee Wonbong) 프로필 이미지
  • 이은성 교수

    Eun Seong Lee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다솔관 D326

    • 연구분야

      생체의료용고분자

    • 연구키워드

      고분자재료 나노의약

    2008년 3월부터 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2년~2003년 미국 유타대학교(약학과)에 연구원(research staff)으로 일했으며, 2004년~2006년 아모레퍼시픽에 재직했습니다. 2006년~2007년 미국 유타대학교(약학과)에서 박사후과정연수를 밟았습니다. 나노 의약 소재 개발 및 기능성 소재 분야 관련 연구를 해 오고 있으며 지난 2011년 지식창조대상(교육부) 수상 외에도 2016년 1월에는 미국 톰슨루이터에 의해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선정된 바가 있습니다. 새로운 형태의 약물전달시스템에 융합시켜 신약 개발에 버금가는 나노의약품으로 개발하고, 이것을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Since 2008, he has been serving as a professo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 earned his bachelor's degree in Chem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in 1998, and subsequently obtained hi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from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in 2000 and 2004, respectively. From 2002 to 2003, he worked as a research staff member at the University of Utah in the United States, and from 2004 to 2006, he was employed at AmorePacific Corporation. He then pursued a postdoctoral fellowship at the University of Utah from 2006 to 2007. His resear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anomedical materials and functional materials. In recognition of his work, he received the Knowledge Creation Award in 2011 and was selected in January 2016 by Thomson Reuters as a Highly Cited Researcher, placing him among the top 1% of researchers worldwide based on citation impact. He is dedicated to developing nanomedicines by integrating novel drug delivery systems, aiming to create treatments comparable to new drugs. His work particularly focuses on applying these technologies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ncer and other intractable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