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산학협력단

 

연구정보

연구자현황

게시글 검색
전체
  • 김준영 조교수

    Kim Jun Young

    • 소속학과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805

    • 연구분야

      스마트 지속가능 에너지 화학공정

    • 연구키워드

      인공지능 공정설계 반응기 스케일업 다상유동 분체공정 전기화학촉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에서 박사학위,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수여했다. AI를 적용한 지속가능 에너지 화학공정 설계 및 반응기 스케일업, 자동화, 전기화학 촉매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공정 실험 및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전기화학촉매, 실험실 자동화 연구를 포함한 에너지 및 환경 분야 스마트 공정 개발(SPEED)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베이징이공대학, 성균관대학교 등과 유동층공정, AI 및 전기화학촉매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수행중이며, 최근 3년간 Materials Today (2024),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4), Journal of Energy Chemistry (2024), Energy (2023) 등 상위 5% 논문 6편을 포함하여 18편을 작성하는 등 화학공정 및 전기화학촉매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Professor Jun Young Kim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Bio-Medical Chemical Engineer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rof. Kim received his Ph.D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nd his B.S. and M.S. at Sungkyunkwan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 is AI-aided sustainable energy process engineering, including process design and reactor scale-up, as well as automation and electrocatalysts. He leads the Smart Process for Energy & Environmental Development (SPEED) Lab, focusing on research areas such as process experimentation and simul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chemical catalysts, and laboratory automation. Currently, he conducts collaborative research with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ungkyunkwan University in the fields of fluidized bed processes, AI, and electrochemical catalysis. In recent three years, he published 18 papers as a main author in the field of chemical processes and electrochemical catalysis in the last three years, including six top 5% papers in Materials Today (2024),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4), Journal of Energy Chemistry (2024), and Energy (2023).
  • 김중한 교수

    Kim Joonghan

    • 소속학과

      화학과

    • 연구실

      다솔관 D538

    • 연구분야

      물리화학, 양자화학, 계산화학, 광화학

    • 연구키워드

      전자구조 분자동역학 반응 메커니즘 원뿔 교차점 계간 교차

    김중한 교수는 한양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과학기술원 (KAIST) 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Kyoto University, Fukui Institute for Fundamental Chemistry 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2012년 9월부터 가톨릭대학교 화학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수준 높은 양자화학 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바닥 상태 및 들뜬 상태의 분자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화학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원뿔 교차점 및 계간 교차를 포함하는 광화학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비단열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있다. 나노 재료 물질에 대한 반경험적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재료 물질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는 온실 가스의 온실 효과 기여도인 Global Warming Potential (GWP)를 이론적으로 계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반도체 공정 중 화학 종을 규명하는 플라즈마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김지연 교수

    Kim Jiyeon

    • 소속학과

      국어국문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804

    • 연구분야

      한국문학

    • 연구키워드

      한국현대시

    김지연(Kim Jiyeon) 프로필 이미지
    김지연 교수는 1995년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부임했다. 성심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조지훈 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의 현대시와 시론 연구』, 「한국 현대시의 아이러니와 시적 내면의 심층화에 관한 연구」, 「보르헤스와 이형기 시의 비교 연구」, 「백석 시에 형상화된 백색 이미지와 음양오행의 상징성 연구」 등 다수의 논저를 발표했다.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현대시론>, <한국현대시읽기>, <세계문화와창의적시읽기>, <문학과예술의상상력탐색>, <한국현대시인탐구>, <문학치료>, <의사소통교육론> 등의 교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현재 문학예술에 형상화되어 있는 상상력의 심층을 메타인지와 융합된 방법론으로 탐색하여, 상상력의 스펙트럼과 창의성의 능동적 동인을 새롭게 확장하는 연구에 열중하고 있다. 또한 동양 문화의 사상적 원형인 음양오행의 방법론으로 문학예술의 생동적 특성과 역동적 치유성을 밝히는 탐구에도 몰입하고 있다. 
    												
    							
  • 김지영 부교수

    Kim Ji Young

    • 소속학과

      경제학과

    • 연구실

      성심관 SH405

    • 연구분야

      경제학

    • 연구키워드

      계량경제학 미시경제학

    김지영(Kim Ji Young) 프로필 이미지
    김지영 교수는 경제학과의 산학협력 교육, 연구, 봉사 업무를 수행해오고 있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후 삼성그룹에 입사해 30여년 간 제일모직, 삼성경제연구소를 거쳐 삼성증권 주식운용팀장,투자정보팀장, 마케팅팀장, 주요 지점장 및 연금신탁사업부 담당이사를 역임한 뒤 본교 경제학과로 부임하였다. 대내적으로는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업무를 관장하는 LINC사업단의 현장실습지원센터장 직무를 중심으로 전통시장대학협력사업 등 정부과제 수행과 산업체 기술이전에 주력하였으며 대외적으로는 한국벤처창업학회 부회장, 서울특별시 송파구 사전재해영향성 검토위원회 위원, 입법고시 2차 시험 경제학 과목 선정위원, 서연전자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경북대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계량경제, 미시경제를 전공하고 ‘기후파생상품의 가격결정 연구’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올해의 우수학위논문상(향촌상), 벤처창업연구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김지훈 조교수

    KimJihoon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7

    • 연구분야

      오가노이드 및 줄기세포 생물학

    • 연구키워드

      줄기세포 항상성 조절 질환모델 단백질 분해조절

    김지훈(KimJihoon) 프로필 이미지
    김지훈 교수는 줄기세포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조교수로 건국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였고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구조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2015년 네덜란드 Hubrecht Institute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음. 이후 2016년부터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줄기세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시작하였으며 오스트리아 IMBA 연구소에서 2021년까지 박사후연구원을 지냈음. 2021년 9월부터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에 조교수로 부임하였음. 2021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줄기세포협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오가노이드, 동물모델, 세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지와 질병모델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특히 위, 장, 간, 폐, 자궁내막 등 다양한 기관 관련 오가노이드를 활용하여 기관특이적인 줄기세포의 조절 메커니즘과 유전자 교정을 통한 질병모델링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수준의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음. 현재 가톨릭대학교 뿐만 아니라 기초과학연구원에 초빙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며 2곳의 연구실을 유지하고 있음.
    Prof. Jihoon Kim is working on stem cell biology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 got a bachelor's degree from Konkuk University, a master's degree from POSTECH, and a PhD from the Hubrecht Institute in the Netherlands. In September 2021, he joined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s an assistant professor. Prof. Kim's lab utilises diverse research models such as organoids, animal models and cell line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stem cell homeostasis regulation and disease development. Furthermore, Kim's lab can handle diverse organoids such as stomach, colon, liver, lung and endometrium. Due to his works on stem cell biology, he could publish multiple papers in highly appreciated journals. In addition, he is also operating a research lab at IBS CGE in Daejeon as a visiting research fellow.
  • 김찬우 교수

    Kim, Chan-Woo

    • 소속학과

      사회복지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310

    • 연구분야

      사회복지, 노인복지

    • 연구키워드

      노인복지 장기요양. 노인돌봄

    김찬우(Kim, Chan-Woo) 프로필 이미지
    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및 노인돌봄과 관련된 연구를 해오고 있다. 2008년도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전후로 보건복지부 시범사업 및 본 제도의 등급판정도구 개발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해왔다. 최근에는 노인분야의 다양한 연구주제들, 노인과 영성, 노인과 성, 남성노인돌봄자, 요양보호에 대한 가치 및 케어매니지먼트 등에 대한 논문들을 게재해왔다. 
    Main research topics are related to 'long-term care policies ' or ' care for elders'. Since 2004 the Assessment system of LTC Insurance was most topic of my papers. Recent papers covers topics including 'elders and spirituality', 'elders and sex', 'male elders caregiving', 'the value of care giving'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