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기선 교수
Kisun Sung
-
소속학과
교직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205
-
연구분야
교육사회학, 교육행정학, 평생교육
-
연구키워드
교육불평등 교육정책 평생교육 학교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공부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을 거쳐 2000년3월부터 가톨릭대학교에서 강의 시작. 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장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대원장을 엮임, 한국교육사회학회 부회장 역임. 고등학교평준화 정책의 효과 분석을 핵심적인 연구주제로 설정하였었고,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HLM과 같은 계량적 연구방법론 탐구, 혁신교육을 통한 학교현장 변화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최근에는 [교육의숲]이라는 연구원을 만들어 현장교사들과 지역주민들과 협력하면서 다양한 현안 교육문제를 논의하고 있음. [대한민국교육트랜드2022, 2023, 2024]라는 세 권의 책을 공동집필하면서 코로나 이후, 대전환이 필요한 한국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서 담론을 펼치고 있음.
I gradu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worked as a researcher at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began teach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March 2000. I served as the director of the Gyeonggi-do Yulgok Education Training Center and the 10th president of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as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Sociology of Education. I have se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andardization policies as a core research topic, and am also interested in analyzing the impa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xplor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HLM, and changing school settings through innovative education. Recently, I created a research institute called [Forest of Education] and discussing various current education issues by collaborating with field teachers and local residents. While co-authoring three books called [Korea Education Trends 2022, 2023, 2024], I am discussing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Korean education that require a big transformation after the coronavirus.
-
소속학과
-
서강대학교에서 국제경영, 가톨릭대학교에서 경영전략을 전공했으며, 2018년 가톨릭대학교에 부임해 현재 경영학과와 스타트업융복합전공의 교수로 있다. 식품음료산업, 공공기관, 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의 경영전략을 연구, 자문해 왔다. 산업화가 상대적으로 늦은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선발기업을 추격, 추월하기 위한 혁신전략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
송성욱 교수
Song, Sung-uk
-
소속학과
국어국문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715
-
연구분야
한국고전문학
-
연구키워드
고전소설/스토리텔링
-
소속학과
-
송윤경 부교수
Song Yun-Kyoung
-
소속학과
약학과
-
연구실
정진석추기경약학관 NP410
-
연구분야
약료서비스 모델 개발, 의약품 안전성유효성 평가, 맞춤형 건강증진 연구
-
연구키워드
약료서비스 안전성 건강증진 실사용데이터
약료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임상연구, RWD를 이용한 의약품 안전성, 유효성 분석 연구 및 맞춤형 건강증진 방안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2017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임상약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18-2023년 동안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조교수로 재직 후 2023년부터 현재까지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임상약료학 연구실을 운영해 오고 있다. 2005-2014년 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보건연구사로 재직하며 의약품 안전성/유효성 자료 심사 업무를 수행하였다. 미국 등과 활발한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50여편의 논문을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또한 다수의 한국연구재단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원의 연구과제를 수행중에 있다. 임상약학 분야의 핵심 학술단체인 한국임상약학회의 총무위원장,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DUR 분과위원 및 의약품부작용 전문위원회 전문가단으로도 활동 중이다.
Major research areas are clinical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care service models, analysis of drug safety and efficacy using real-world data, and personalized health promotion researches. She obtained a doctoral degree in Clinical Pharmacy from the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17 and worked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College of Pharmacy, Daegu Catholic University from 2018 to 2023. Since 2024, She has been a professor in a clinical pharmacy lab at the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he worked as a reviewer at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during 2005-2014. She has collaborated with researcher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nd has published over 50 papers in SCI journals. Additionally, She is currently involved in several research project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d the MFDS. She has been the secretary-general of the Korean College of Clinical Pharmacy and a member of the Central Pharmaceutical Review Committee of the MFDS. She has also been a member of the DUR subcommittee and an expert member of the Adverse Drug Reaction Expert Committee of the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
소속학과
-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과 중국에서 연구경력을 쌓았다. 주된 연구 분야는 한국성인의 식사요인과 대사질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으로 지난 20년동안 총 120여편의 국내외 유수논문을 발표하였고, 대한비만학회,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서 다수의 강연을 하였다. 특히 식사요인 중, 여러가지 식사전략(간헐적단식,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과 비만 및 당뇨병과의 관련성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영양소 섭취와 관련해서는 첨가당 과잉섭취를 가당음료(sugar-sweetened beverage, SSB)와 인공감미음료(artificially-sweetened beverage, ASB) 섭취와 함께 건강지표와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연속혈당측정기를 통한 실시간 혈당반응에 영향을 주는 식사요인 규명하여 개인별 맞춤 식사전략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Dr. YoonJu Song holds a Ph.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as gained research experience in Korea, China. She specializes in the role of dietary factors in metabolic disease, including metabolic syndrome, obesity, and type 2 diabetes in Korean population. Over the past 20 years, approximately 120 promin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have been published, and numerous presentations have been given a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She is actively involved in several academic societies and has editorial experience with multiple journals. In particular, among dietary factors, various dietary strategies (such as time-restricted eating as a type of intermittent fasting, low-carb die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besity and diabetes are primarily studied. Regarding nutrient intake, the consumption of added sugars has been explored with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SSBs), artificially-sweetened beverages (ASBs). Additionally, research is underway to identify dietary factors that influence real-time blood glucose responses through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for individualized dietary recommend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