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산학협력단

 

연구정보

연구자현황

게시글 검색
전체
  • 송성욱 교수

    Song, Sung-uk

    • 소속학과

      국어국문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715

    • 연구분야

      한국고전문학

    • 연구키워드

      고전소설/스토리텔링

    송성욱(Song, Sung-uk) 프로필 이미지
  • 송윤경 조교수

    Song Yun-Kyoung

    • 소속학과

      약학과

    • 연구실

      정진석추기경약학관 NP410

    • 연구분야

      약료서비스 모델 개발, 의약품 안전성유효성 평가, 맞춤형 건강증진 연구

    • 연구키워드

      약료서비스 안전성 건강증진 실사용데이터

    송윤경(Song Yun-Kyoung) 프로필 이미지
    약료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임상연구, RWD를 이용한 의약품 안전성, 유효성 분석 연구 및 맞춤형 건강증진 방안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2017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임상약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18-2023년 동안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조교수로 재직 후 2023년부터 현재까지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임상약료학 연구실을 운영해 오고 있다. 2005-2014년 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보건연구사로 재직하며 의약품 안전성/유효성 자료 심사 업무를 수행하였다. 미국 등과 활발한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50여편의 논문을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또한 다수의 한국연구재단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원의 연구과제를 수행중에 있다. 임상약학 분야의 핵심 학술단체인 한국임상약학회의 총무위원장,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DUR 분과위원 및 의약품부작용 전문위원회 전문가단으로도 활동 중이다.
    Major research areas are clinical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care service models, analysis of drug safety and efficacy using real-world data, and personalized health promotion researches. She obtained a doctoral degree in Clinical Pharmacy from the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17 and worked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College of Pharmacy, Daegu Catholic University from 2018 to 2023. Since 2024, She has been a professor in a clinical pharmacy lab at the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he worked as a reviewer at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during 2005-2014. She has collaborated with researcher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nd has published over 50 papers in SCI journals. Additionally, She is currently involved in several research project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d the MFDS. She has been the secretary-general of the Korean College of Clinical Pharmacy and a member of the Central Pharmaceutical Review Committee of the MFDS. She has also been a member of the DUR subcommittee and an expert member of the Adverse Drug Reaction Expert Committee of the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 송윤주 교수

    Song, YoonJu

    • 소속학과

      식품영양학과

    • 연구실

      다솔관 D227

    • 연구분야

      영양학

    • 연구키워드

      영양역학

    송윤주(Song, YoonJu) 프로필 이미지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과 중국에서 연구경력을 쌓았다. 주된 연구 분야는 한국성인의 식사요인과 대사질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으로 지난 20년동안 총 120여편의 국내외 유수논문을 발표하였고, 대한비만학회,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서 다수의 강연을 하였다. 
    특히 식사요인 중, 여러가지 식사전략(간헐적단식,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과 비만 및 당뇨병과의 관련성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영양소 섭취와 관련해서는 첨가당 과잉섭취를 가당음료(sugar-sweetened beverage, SSB)와 인공감미음료(artificially-sweetened beverage, ASB) 섭취와 함께 건강지표와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연속혈당측정기를 통한 실시간 혈당반응에 영향을 주는 식사요인 규명하여 개인별 맞춤 식사전략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Dr. YoonJu Song holds a Ph.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as gained research experience in Korea, China. She specializes in the role of dietary factors in metabolic disease, including metabolic syndrome, obesity, and type 2 diabetes in Korean population. Over the past 20 years, approximately 120 promin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have been published, and numerous presentations have been given at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She is actively involved in several academic societies and has editorial experience with multiple journals.
    In particular, among dietary factors, various dietary strategies (such as time-restricted eating as a type of intermittent fasting, low-carb die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besity and diabetes are primarily studied. Regarding nutrient intake, the consumption of added sugars has been explored with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SSBs), artificially-sweetened beverages (ASBs).  Additionally, research is underway to identify dietary factors that influence real-time blood glucose responses through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for individualized dietary recommendations.
  • 송치호 조교수

    Song, Chiho

    • 소속학과

      사회복지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302

    • 연구분야

      사회복지학

    • 연구키워드

      사회이동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역사

    송치호(Song, Chiho) 프로필 이미지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조교수로 국가간 비교 관점에서 세대간 사회이동성과 복지국가의 관계를 검토하고, 연구와 정책을 연결하는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연구의 목표는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경제적 이득/불이득이 어떻게 전승되는지에 대한 핵심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시장경제를 가진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 시민들의 상향적 사회이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찾는 것이다. 현재 연구 프로젝트는 2019년 국제 사회조사 프로그램의 사회 불평등 모듈 V 자료를 활용한 세대간 계급 이동성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관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 연구이다.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학사(2005년)와 석사(2007년) 학위를, 미 워싱턴대학교(시애틀) 사회복지대학원에서 박사학위(2019년)를 받았다. 학부에서 사회복지역사(미국사회복지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그 정책적/실천적 함의), 한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연구방법론, 일반대학원에서 사회복지정책세미나(사회이동성과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패널연구세미나II(회귀분석, 단순/고급패널자료분석), 사회복지자료분석론I(구조방정식모형, 다층모형), 특수대학원에서 사회복지역사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Assistant Professor Chiho Song’s research focuses on examining a relationship between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and the welfare state i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a focus on linking research to policy. Dr. Song’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key mechanisms through which economic advantages or impediments can be transferred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thereby suggesting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upward mobility for the citizenry in modern democracies with market economies. His current research project focuses on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intergenerational class mobility and socioeconomic inequality using data from Social Inequality Module V in the 2019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Dr. Song holds a BA (2005) and a MA (2007) in Social Welfar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 Ph.D. (2019) from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Social Work (UW SSW). Dr. Song teaches courses on social welfare history, social welfare in Korea, social welfare policy, and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at the undergraduate level. He offers courses on the seminar in social welfare policy (focusing on social mobility and social welfare policy), the advanced seminar in social welfare panel studies II, advanced social welfare data analysis I, and social welfare history at the graduate level.
  • 신계정 교수

    Shin, Kye Jung

    • 소속학과

      약학과

    • 연구실

      정진석추기경약학관 NP321

    • 연구분야

      신약 후보물질 개발 연구

    • 연구키워드

      면역 조절제 면역 항암제

    신계정(Shin, Kye Jung) 프로필 이미지
    Rational design을 통한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발굴된 신약 후보물질은 국내 및 외국의 제약회사와의 공동연구나 licesing-out을 통하여 신약으로의 가능성을 검색하는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 연구분야로 면역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We perform the research to discover and optimize new drug candidates through rational design. 
    We are focusing on research on finding out new drugs through joint research with domestic and foreign pharmaceutical companies.
    Currently, our main research area is developing new drugs for immune-related diseases.
  • 신유림 교수

    Shin, Yoo-Lim

    • 소속학과

      아동학과

    • 연구실

      다솔관 D445

    • 연구분야

      아동발달

    • 연구키워드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신유림(Shin, Yoo-Lim) 프로필 이미지
    연세대학교 아동학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chool of Education에서 Child Development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취득 후 삼성복지재단 어린이개발센터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2002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교수로 근무 중이다. 강의과목은 영유아발달, 영유아사회정서지도, 정신건강, 특수아동이해이다. 세부 전공 분야는 유아기 및 아동기 사회정서발달이며. 특히  이 시기의 사회적 관계가 주요 연구 관심분야이다. 유아 및 초등 학령기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왔으며, 최근 부모-자녀관계 및 유아-교사관계 분야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I received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in child studies from Yonsei University and Ph. D majoring child development from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chool of Education. After receiving Ph.D., I had worked as a researcher at the Samsung Welfare Foundation, Child Development Center. Since 2002 I have been working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Lecture subjects are child development, social and emotional guidance for young children, mental health, and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My ​​research area i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social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I have continuously conducted research on peer relationships in  childhood, and have recently expanded research into the area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