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산학협력단

 

연구정보

연구자현황

게시글 검색
전체
  • 이혜숙 교수

    Lee Hyesuk

    • 소속학과

      약학과

    • 연구실

      정진석추기경약학관 NP421

    • 연구분야

      약물대사 및 생의약분석

    • 연구키워드

      약물대사 법독성학 약물상호작용

    이혜숙(Lee Hyesuk ) 프로필 이미지
    약독물의 약동학 및 대사경로 구명, 약물 뿐아니라 사회문제가 되는 신종마약류의 다양한 bioanalysis 분석법 및 약물상호작용 연구와 지질대사체학 및 단백질체학 등의 통합적 오믹스 연구시스템의 연구기반을 구축하여 대사체학과 단백질체학을 이용한 질병 관련한 생체지표 개발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으며,  SCI 국제학술지에 25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08년-2013년에 국가지정연구실사업(과제명: 천연물신약의 대사 및 약물상호작용 평가 기술 연구)으로 약동력학, 대사 및 약물상호작용 연구기반과 을 확보하여, 국내 제약회사의 신약개발 연구를 지원하여 현재 시판 중이거나 임상시험 중인 9건의 혁신신약 (자이데나, 슈가논, 엠빅스, 엔블로 등)과 천연물신약 (스티렌, 모틸리톤, 시네츄라시럽 등) 개발에 기여하였다.  국제저명학술지인 Current Analytical Chemistry,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Pharmaceutics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2016, 2021), 대한약학회 녹암학술상(2017), 가톨릭대 연구우수상(2016), 가톨릭대 최우수 강의교원(2014) 등을 수상하였다.
    Professor Lee acquired B.S., MS, Ph.D. degrees at the College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 hav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in Toxicology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I also served as professor in College of Pharmacy, Wonkwang University, Korea from 1995 to 2010 and was a dean of College of Pharmacy, Wonkwang University from 2003 to 2005. In 2011, I moved to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was a dean of College of Pharmacy from 2014 to 2016. I have published 250 peer-reviewed articles in SCIE journals, and my research has focused on analytical toxicology, pharmacokinetics and metabolism of new drug candidates and new psychoactive substances, and in vitro drug interaction. I serve on the Editorial board members of Pharmaceutics, Bioanalysis, Current Analytical Chemistry,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and Mass Spectrometry Letters. 
  • 이혜원 조교수

    Lee, Hyewon

    • 소속학과

      의류학과

    • 연구실

      다솔관 D426

    • 연구분야

      패션테크놀로지/의류소재 디자인/패션미학

    • 연구키워드

      패션 테크 소재 융합 웨어러블 디바이스 패션문화 의류폐기물 재활용

    이혜원(Lee, Hyewon) 프로필 이미지
    이혜원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조교수로, 패션테크놀로지, 의류소재디자인, 패션미학을 전공으로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실무경력으로, 태광산업 방적사업부, Mode-C의 패션 컨설팅 회사대표, 연구경력으로 조선대학교의 IT융합신기술연구센터의 연구교수, 상명대학교의 문화기술융합연구소의 연구교수, 그리고 강의경력으로 서울대학교 및 고려대학교를 비롯한 많은 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 이 교수는 패션 테크 융합을 비롯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류폐기물을 이용한 소재 개발, 그리고 패션 문화 현상 분석과 연관된 다양한 연구 주제로 다양한 국가과제 프로젝트를 수행중이다.
    Professor Lee Hye-won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specializing in fashion technology, clothing material design, and fashion aesthetics. She earned her doctoral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With practical experience in the field, she has worked in the textile business division of Taekwang Industrial and served as the representative of Mode-C, a fashion consulting company.
    In terms of research, Professor Lee has held positions as a research professor at Chosun University's IT Convergence New Technology Research Center and as a research professor at Sangmyung University's Institute of Cultural Technology Convergence. She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various national projects related to fashion technology integration. Additionally, she has an extensive teaching career, having taught at several universities, including Korea University.
    Currently, Professor Lee is actively engaged in diverse research projects, with a focus on fashion technology integration, wearable devices, material development utilizing clothing waste, and the analysis of fashion cultural phenomena.
  • 이홍민 교수

    Lee, Hong-Min

    • 소속학과

      법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608

    • 연구분야

      법학

    • 연구키워드

      민법 노동법

    이홍민(Lee, Hong-Min) 프로필 이미지
    2011년 고려대학교에서 ‘민법 제정과 그 성과 분석’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로 우리나라 민법의 제정 과정 등 민법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세 제도와 같이 우리나라에 특유한 제도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 등에 대해서는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다만 민법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다 보니, 민법의 어느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재산법과 가족법 전반에 걸쳐서 연구하고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그밖에 노동법과 관련하여 개별적 근로관계법상 근로자의 권리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In 2011, I received a Ph.D. in Law from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on the subject of 'An analysis of the enactment of the Korean Civil Code and its achievements'. I am mainly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ivil law, including the enactment process of the Korean Civil code, and am conducting researches based on this. For example, I have published several papers on how systems unique to Korea, such as the Jeonse-system, have changed and how they should change in the future. However, as I am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civil law, I am researching and publishing papers on property law and family law in general rather than focusing on any one field of Civil law. In addition, in the field of Labor law, I am also conducting research on workers' rights.
  • 이홍주 교수

    Lee Hong Joo

    • 소속학과

      경영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515

    • 연구분야

      경영정보

    • 연구키워드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

    이홍주(Lee Hong Joo) 프로필 이미지
    이홍주 교수는 2006년 KAIST 경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2006년에는 MIT Center for Coordination Science에서 Postdoctoral fellow로 근무하였다. 2011년에는 MIT Center for Collective Intelligence에서 Visiting scholar로 활동하였으며, 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Brunel Business School, Brunel University London에서 International researcher로 지냈다.
    
    이홍주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지능적 기술의 활용과 소셜 미디어 및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콘텐츠 분석이다. 그의 연구 성과는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Decision Support System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Expert Systems,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등의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다.
    Hong Joo Lee is a Profess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 has a Ph.D. from the KAIST Business School (2006) and was with the MIT Center for Coordination Science as a postdoctoral fellow in 2006. He stayed at the MIT Center for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visiting scholar in 2011 and Brunel Business School, Brunel University London as an international researcher in 2017– 2018. His research areas are utilizing intelligent techniques and harness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business settings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lligent aids in e-business and healthcare. His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Decision Support System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Expert Systems,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and other journals.
  • 이희경 교수

    Lee Heekyung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806

    • 연구분야

      상담심리학, 긍정심리

    • 연구키워드

      긍정정서와 정서조절 강점과 외상후 성장 친밀한 대인관계 긍정성 공명

    이희경(Lee Heekyung) 프로필 이미지
    상담심리학을 전공하고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No.84)과 주수퍼바이저 자격을 취득하여 상담 전공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부회장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장을 역임했다.  긍정심리 특성이 심리적 고통 극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 갖고 연구하고 있다.  
    												
    							
  • 임민균 조교수

    Im Minkyun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비르투스관 V301

    • 연구분야

      기초신학

    • 연구키워드

      계시 성경과 성전 신앙과 이성 고통의 문제

    임민균(Im Minkyun) 프로필 이미지
    모든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운명처럼 직면하게 되는 "고통 속에서도 신의 존재를 체험할 수 있고, 희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이 주요 연구 주제라 할 수 있다. 이는 종교의 유무와 관계 없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인생에서 고민하게 되는 주제이며, 이 고통의 순간을 어떻게 직면하고 이겨내는 지에 따라 누군가는 신의 존재를 확신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신의 부재 또는 죽음을 주장하기에 이르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리스도교 신앙은 과연 이 (무죄한) 고통의 문제에 어떠한 긍정적 해석 전망을 제공할 수 있는지 성찰할 필요성이 있으며, 더 나아가 고통 속에서도 우리와 함께 아파하시는 사랑의 하느님의 현존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망이야말로 현대 사회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긍정적 가치를 증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선교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고통의 문제를 다루는 영화, 연극, 소설 등의 문학 장르에 대한 신학적 비평을 통해, 사람들이 보다 알기 쉽게 그리스도교에서 바라보는 고통의 의미에 대해 소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The main research topic is examining the question if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the existence of God and have hope even in suffering. This is the topic that every human being, regardless of religion or not, ponders at least once in their lives. Depending on how they face and overcome this moment of pain, some may be convinced of the existence of God, while others may claim the absence or death of God. If so, there is a need to reflect on what kind of positive interpretive perspective the Christian faith can provide to this problem of (innocent) suffering,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the presence of a loving God who suffers with us even in suffering. This outlook could be an effective missionary method that can testify to the positive value of the Christian faith in present society. For this reason, efforts are being made to introduce the meaning of suffering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in a way that is easier for people to understand through theological criticism of literary genres such as movies, plays, and novels that deal with the issue of suffering.